[도커] 도커 0: 도커가 뭐고 왜 쓰나요?
·
클라우드/도커
전에 만들었던 도커 강의자료를 천천히 풀어보려고 한다 ☺️🙋‍♀️ 도커가 뭔가요?도커에 대해 궁금해하는 친구들에게, 항상 이렇게 말한다. 1️⃣ 개발 단계에서 쓰는 게 아니다(➔ DevOps 개념을 먼저 공부할 것) 2️⃣ 서로 다른 컴퓨터에서도 똑같은 실행 동작을 보장하기 위해서 쓴다.  🙋‍♀️ 데브옵스요?우선..DevOps 개념을 알아봅시다 서버-  특정한 기능을 하는 소프트웨어를 특정 컴퓨터에 실행시키고,    고객에게 소프트웨어의 처리 결과를 제공하는 형태 - 특정 서비스를 제공하는 컴퓨터   (서비스의 종류에 따라 서버의 종류가 바뀜)  도커는?서버/서비스를 만들기 위한 도구가 아니다서비스를 컴퓨터에 구동(run) 시키기 위한 서버 환경을 구축하기 위한 도구! 이다  서버 패러다임: Imm..
자주 사용하는 Dockerfile(도커파일) 모음
·
클라우드/도커
내가 자주 사용하는 Dockerfile 정리 + 사용법도 간단하게 정리해본다!Dockerfile 사용법💡 도커 이미지 생성 (Dockerfile 기반)맨 마지막 점(.): . 위치에 존재하는 Dockerfile을 기반으로 도커 이미지를 생성하겠다는 의미$ docker build -t test-img .$ docker build -t (도커계정)/(이미지명):(태그) . # docker build -t my_account/test_img:latest .  💡생성한 이미지 도커허브에 Push생성한 도커 이미지를 허브에 Push    (다른 컴퓨터에서, 도커 허브에 접속해 이미지 다운로드 가능)깃허브 생각해보시라!   (로컬 파일을 ➔ 깃허브로 push하는 개념과 유사)$ docker push (이미지명)..
PaaS vs Serverless 비교 & 사용
·
클라우드
클라우드 개념을 다지는 중,PaaS와 Serverless 개념이 혼동되어 정리하게 되었다 ⭐️ 0. 결론PaaS, Serverless 둘 다, 사용자는 어플리케이션 코드를 올리기만 하면 된다!Serverless는 사용할 때만 켜지고, 평소에는 자동으로 꺼지는 상태이다. (경제적) PaaS는 개발자가 직접 VM을 관리해야 한다. (수동으로 끄지 않는 한 켜져 있음) (덜 경제적) Serverless는 CSP의 서버 관리 서비스(스케일링, 업데이트, 백업 등)가 포함된다.PaaS는 개발자가 서버 관리를 해야한다. ⭐️ 1. PaaS ? ✅ Platform-As-A-Service- 클라우드 컴퓨팅 모델 중 하나. ✅ 클라우드 컴퓨팅 모델과 온프레미스클라우드 컴퓨팅 모델을 설명하기 위해서는 온프레미스과 비교하여..
[AWS] EC2 SSH 접속 에러 (permission denied public key) pem키 권한
·
클라우드/AWS
개발 환경 문제AWS EC2 서버 생성 이후,로컬 pc (노트북) 에서 ssh로 EC2로 접근하려 하니 아래와 같은 Permision Error가 발생했다. 원인키의 권한 줄때,chmod +x (pem키이름).pem너무 많은 권한을 준 것이 문제였다.  이 원인을 어떻게 발견했는가?ssh-keygen -f (pem키이름).pem -y 서칭 중https://repost.aws/ko/questions/QU5aYqBcIUT_iAepA0pvHK7A/%EC%A0%91%EC%86%8D%EC%9D%B4-%EC%9E%98%EB%90%98%EB%8D%98-ssh-%EA%B0%80-%EC%A0%91%EC%86%8D%EC%9D%B4-%EA%B0%91%EC%9E%90%EA%B8%B0-%EC%95%88%EB%90%A9%EB%8..
[AWS] 2024 AWSome Day 온라인 컨퍼런스 참여후기 | 강연 정리
·
클라우드/AWS
AWSome DAY ?AWS를 처음 시작하거나,AWS에 대해 기본 지식을 알아가고 싶은 모든 사람을 위한온라인 컨퍼런스로, 2024년 7월 11일 하루 중,정해진 시간에 실시간 스트리밍으로강연을 들으면 된다 ! 이외에도 아래와 같은 특징이 있다 ✅ 5개의 한국어/영어 강연 (클라우드 기초 지식 및 AWS 활용 팁) 소개✅ AWS 전문가와 실시간 Q&A✅ 참석 증명서 발급✅ AWS 크레딧 부여 (25$) 강연 정리내가 흥미롭게 들었던 부분, 새로이 알게 된 내용 등간략하게 정리해본다! 1. AWS 클라우드 소개 📌 온프레미스 vs 클라우드온프레미스클라우드- 사내 자체 서버실 구축 및 운영- 회사 네트워크를 통해 IT 리소스 이용- 구축되어 있는 기반 시설을 이용 - 인터넷을 이용해 원격지의 IT 리소스 ..
.kubeconfig가 뭐고, 없으면 무슨 일이 일어날까?
·
클라우드/쿠버네티스
결론 ✅ .kubeconfig파일이 없으면 k8s API에 접근이 안됨 ✅ .kubeconfig파일이 없어도 클러스터 join 가능 활용 ❍ 워커 노드에서도 kubectl 명령어를 사용하고 싶다 → 마스터 노드의 config 파일 복사해 붙여넣기 ❍ 외부 사용자가 kubectl 명령어를 사용하고 싶다 / k8s API에 접근하고 싶다 - (go) client-go 참고 개요 프로젝트를 위해 여느 때와 같이 쿠버네티스 클러스터를 생성했다. kubeconfig 파일이 마스터 노드의 경우에는 클러스터 생성 시 자동으로 생성되고, 워커 노드의 경우에는 그렇지 않았던 것이 생각이 났다. 그래서 kubeconfig파일이 뭐고, 없으면 큰일이 나는지가 궁금해 알아보기 시작했다. 본문 kubeconfig 파일? - 쿠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