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도커] 도커 1: 도커의 3가지 컨셉
·
클라우드/도커
지난 시간을 통해 도커가 무엇인지 가볍게 알아볼 수 있었다.이번 시간에는 도커의 3가지 컨셉을 알아보자!🙋‍♀️ 들어가기 전에 .. 도커의 구성에 대해 살펴보자- (1) docker 명령어를 이용해 이미지로 특정한 이름(aaa)을 가진 컨테이너 생성 요청- (2) 서버는 요청 수신 후 특정한 이름(aaa)인 컨테이너 이미지(=운영환경 설정 파일)를 이미지 저장소에서 조회- (3) 이미지를 서버로 가져오고, 가져온 이미지를 기반으로 컨테이너 생성도커 컨셉 1️⃣ 도커 API🙋‍♀️API? API = Application Program Interface- 다른 SW를 제어하기 위해 약속한 인터페이스를 말한다- 웹, 운영체제 등에서 제공하는 광범위한 용어 ex) 개발자는 운영체제 API를 이용해 운영체제의..
자주 사용하는 Dockerfile(도커파일) 모음
·
클라우드/도커
내가 자주 사용하는 Dockerfile 정리 + 사용법도 간단하게 정리해본다!Dockerfile 사용법💡 도커 이미지 생성 (Dockerfile 기반)맨 마지막 점(.): . 위치에 존재하는 Dockerfile을 기반으로 도커 이미지를 생성하겠다는 의미$ docker build -t test-img .$ docker build -t (도커계정)/(이미지명):(태그) . # docker build -t my_account/test_img:latest .  💡생성한 이미지 도커허브에 Push생성한 도커 이미지를 허브에 Push    (다른 컴퓨터에서, 도커 허브에 접속해 이미지 다운로드 가능)깃허브 생각해보시라!   (로컬 파일을 ➔ 깃허브로 push하는 개념과 유사)$ docker push (이미지명)..